명상과 종교 타인에 대한 믿음에 대하여
명상
학생이라는 신분을 가지면서 명상을 간혹 하였다. 책과 사람들의 가르침에 따라서도 혹은 불규칙적이지만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나름 체화된 방법으로.. 방법에 대하여 논할 수는 없었다. 살면서 많이 잊어버렸고 기억한들 그 기억이 정확한지 알 수 없다. 최근에는 어느 한 유튜브를 보고 명상을 시작하였다. 대단한 것을 얻어가기 위한 욕심을 포기시켜 주어서 마음에 들었다. 기본 전제는 생각과 의식이 분명히 다름을 인지하라는 것이다. 머리속에 일어나는 작용들에 의해서든 혹은 강제로든 생각을 하지 마라는 것이다. 느껴지는 호흡과 감정들을 의식만 하라는 것이다. 여기서 나는 내가 의식을 두가지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머리가 그냥 켜져 있는 것 그리고 오감이든 생각이든 뭐든 하나 혹은 몇가지를 염두해두는 것. 내가 생각하는 의식의 뜻과 상관없이 여기서 의식을 무엇이라 설명할지 말로는 어렵다. 화자가 말했듣이 내가 뭐라 말하든 그 말에 빠져 이해하려 노력하는 것보다는 직접 해보는 것이 확실한 것 같다. 뭔가 계속 일어나구나 있구나 느끼는 건데.. 실제 호흡이든 소음이든 감정이든 그런 것들이 느껴지든 일어나드 올라오든 이를 최소한으로 인지하는 것 같다. 그 반작용으로서 “있구나” 그런 느낌을 끌어오는 것은 확실히 아니다. 그리고 뭐가 머리속에 일어나든 그 것을 비우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이다. 외부에서 느껴지는 오감이든 혹은 오감으로 떠오르는 상이든 그걸 무시하혀고 비움이라는 생각에 집중하는 것도 아니고 최대한 우리 의식을 흐트림으로써 의식을 오히려 유지하는.. 어렵다. 효과는 분명 말로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나는 그 효과를 아침에 막 일어났을 때를 생각해보며 느껴지는 게 있었다. 꿈에서 막 일어났을 때 우리의 머리가 각종 매크로로 무장되기전 난잡하게 얼어나 잠깐의 흔적만 남기고 사라지는 꿈.. 일어나 걸을 때 일상과는 다른 비척거리는 걸음. 일상의 영위를 위해 걷고 밥먹고 쓰고 읽는 그 과정들을 백그라운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걸어논 그 상태와는 분명 다른 뭔가 전원은 들어오고 키보드의 키는 분명 먹는데 프로그램은 하나도 준비되지 않은.. 렘 롬 cpu는 분명 켜졌는데 점유율은 무진장 낮은 그런 상태를 유도하는게 명상인 것 같다. 그리고 그런 상태를 일상의 여러 휴식시간에 예를 들어 화장실 갈때 출퇴근 때 걸을때 밥먹을 때 잔소리 들을때 적용한다면 머리를 충분히 휴식시킬 수 있고 마음이 건강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겼다.
종교
나는 신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그러나 신의 존재를 믿는지 안믿는지 그 논의는 피하고 싶다. 나는 기독교인이었던 적이 과거 짧은 여러 몇년간 그리고 최근에도 분명 있었다. 그렇다고 지금 나는 기독교인이 아닙니다 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없다. 종교의 전제를 사회적으로 혹은 성경으로 접하고 영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독교인입니다 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없다. 영적으로 심적으로 현대철학과 자연철학 그리고 불교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고 기독교보다 많은 유의미한 탐색과 의의를 얻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기독교적 정체성을 말살시킬 수 없다. 그 전제가 가지는 힘의 크기가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religion. 철자가 맞는지 모르겠다. 생각을 다시 가지는 것 한번 더 가지는 것.. 종교 제일 가는 가름침.. 서로 뜻이 다르다. religion은 초월적 존재에 대한 믿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종교는 진리에 대한 가르침으로 대변된다. 니체는 불교가 타락하였다고 말했다고 한다. 다른 종교들은 종속적인 도덕관을 가졌다고 말한다. 불교는 스스로에 대한 가르침. 스스로를 위한 가르침 귀족도덕의 범주에 들어갔는데 신격화된 존재들이 들어가고 사회화의 도구 사람들이 잘 따르게 하려는 도구가 되면서 다른 religion과 마찬가지로 노예도덕이 되었다고 한다. 힌두교에 있는 신적인 존재들이 내세에 존재하게 되고 메시아적 미륵의 존재도 있고 힌두교에서 말하는 윤회도 있고.. 이러한 설정들이 사람들이 서로 싸우지 않고 착한 행동을 유도하게 한다. 정확한 내 생각은 아니고 니체의 글로부터 느껴지는 나름 내가 이해한 바이다.
잘 쓰지 않는 도메인에 대하여 비밀 위키로도 써보고 포토 블로그로도 써보고 줌라 드루팔 등 CMS를 활용하여 대학원 때 연구한 분야를 알리기 위한 일반 홈페이지로도 활용하려 하였다. 비밀 위키는 도메인을 따다 쓰는 것 의의와 어긋나서 현재 클라우드에 티들리위키파일을 저장하여 활용하고 있거고 사진 및 홈페이지에 대해서는 내가 여기에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에 관심 소질이 없거나 물리적으로 만들 여건이 되지를 않아서 사이트 자체가 만들어지지를 않게 되었다. 그나마 놀고 있는 것 중 하나는 가족 블로그로 쓰고 있다.
앞으로의 작성 방향
앞으로 어떤 식으로 쓸까 고민하다가 내가 취미로 하는 것들을 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끔 드로잉 툴로 집을 그리는데 그런 것도 올리고 잘찍은 사진들도 올리고 아버지 홈페이지 글들도 연결시키고 가끔은 실험해보고 싶었던 것 들도 하고, 예를 들어 소유도메인과 동일한 서브도메인들을 조사하여 개괄적인 것들을 기록하는 등, 연구하려 했던 분야의 툴에 대하여 연구하고 연습하던 스크립트들도 올리고, 만들어논 cv도 유지 갱신해보고…. 이를 위한 사이트 구조를 적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문서 목록, 두번째로 테그와 검색페이지, 다음은 댓글 모음, 마지막으러 페이지, 이 페이지 외에는 구조가 지금의 개인 블로그와 거의 동일하다. 앞으로 만들 사이트의 핵심은 이 페이지이다. 소설이든 집이든 특정 글 모음을 한페이지로 정리하고 이를 페이지에 모아 놓을려고 한다. 글모음은 단순 목록일 수도 있고 갤러리식의 사진이 가시화된 모음일 수 도 있다.
기대, 의의
기대라… 내가 꾸준히 하는 것들로 채울 공간이기에 앞으로 계속 유지될 수 것이라 기대하며 시간이 많이 흐른 후, 내가 했던것들의 기록물로서 흥미로운 것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금의 블로그도 마찬가지의 의미로 나이가 듦에 따라 어떤 생각을 가지는 지 변화를 살펴볼 흥미거리가 되리라 생각한다.
**본래는 이글은 만들려는 사이트에 올리는 것이 맞으나, 아직 안 만들어져서 어떤식으로 만들 것인지 기록용으로 여기에 올린 것이고 그 사이트는 서술형의 글을 최소화 할 것이기 때문에 별도로 기록할 공간이 필요했다. **블로글를 쓰면서 느낀점이 쓰고 싶은 욕구는 있는데 쓸 것이 없으면 별 잡담으로 오염되는 것 같다. 그래서 만들 사이트에 서술을 최소화 하려는 것이거 이 상이트에 별도의 메모라는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그러나 이 블로그는 이미 별 의미없는 말들로 쓰여진 글들이 많다)